학생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드러내는 학교 문화의 상징이며, 남성초등학교의 교육 철학과 전통을 품은 하나의 메시지입니다.
1962년 개교 이래, 남성초의 교복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면서도 학생다움의 품위와 공동체의 일체감을 지켜왔습니다. 지금부터, 그 시작과 변화를 함께 되돌아봅니다.
남성초등학교, 최초의 교복과 교모 제정
1962년 개교 후 3년, 1965년 3월 10일은 남성초등학교 교복 역사에서 중요한 출발점이 된 날입니다. 이날, 학교는 학생들의 단정한 용모와 소속감을 높이기 위해 첫 공식 교복과 교모를 제정하였습니다. 교복은 단순한 복장을 넘어, 학생들의 자부심을 담은 ‘남성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며 오랜 세월 교내 문화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해왔습니다.
남학생 교복
짙은 색상의 자켓형 상의에 좌측 가슴에는 교표 패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의는 무릎 위 길이의 반바지로 구성됩니다. 흰색 셔츠와 블랙 보타이를 착용하고, 동일한 형태의 베레모(교모)를 함께 착용합니다.
여학생 교복
짙은 색상의 자켓형 상의에 좌측 가슴에는 교표 패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의는 무릎 위 길이의 반바지로 구성됩니다. 흰색 셔츠와 블랙 보타이를 착용하고, 동일한 형태의 베레모(교모)를 함께 착용합니다.
첫 공식 교복을 차려입은 남학생과 여학생
약 1985년 - 활동성과 계절성, 교복에 스며들다
1965년 첫 제정된 교복이 ʻ단정함과 통일성’ 중심이 었다면,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활동성, 실용성, 계절성을 고려한 개편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남성초는 춘추복과 동복을 구분해 계절에 따른 착용감을 높이고, 교복을 ʻ움직이는 학습자’ 중심의 복장으로 발전시켰습니다.
여름 교복
남학생은 회색 반바지와 흰색 와이셔츠, 여학생은 회색 치마와 흰색 와이셔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벼운 소재를 사용해 활동성과 실용성을 높였으며, 단정함과 통일성을 갖추어 각종 행사에서도 편안하게 착용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겨울 교복
짙은 컬러의 재킷형 상의에는 교표가 부착되며, 남학생은 회색 무릎 길이 반바지를, 여학생은 동일 계열의 스커트를 착용합니다. 스타킹 또는 니삭스를 갖추어 단정함을 더하고, 블랙 넥타이 혹은 보타이로 통일된 품격을 유지합니다. 춘추복의 경우 재킷을 벗은 상태로 착용하여 계절에 맞는 편안함을 더했습니다.
2022 - 새로운 교복의 시대, 남성의 색을 입다
학생의 품위와 자긍심을 담아낸 남성초등학교 교복은 2022년, 새로운 철학과 함께 리디자인되었습니다.
이번 리뉴얼은 단순한 의복을 넘어, 글로벌 시대를 살아갈 남성 어린이의 비전과 정체성을 담고자 했습니다.
부산을 담은 교복
남성초등학교의 교복 디자인은 이탈리아 남부 카프리 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아름다운 바다의 색을 반영한 카프리블루, 깊은 바다의 색인 남색, 깨끗한 하늘의 색을 상징하는 하늘색, 파도를 상징하는 흰색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